■ 진행 : 김영수 앵커, 강려원 앵커 <br />■ 화상연결 : 김성달 /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국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전현직 국무총리실 소속 고위공직자들이 보유한 아파트 가격이 평균 5억 원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실태 조사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고위공직자는 17억 원이나 올랐다고 밝혔습니다. 경실련의 김성달 부동산건설개혁본부 국장 연결해서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국장님, 나와계십니까? <br /> <br />[김성달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.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오른 가격, 평균 5억 원. 많은 수의 전현직 고위공직자들이 집값 상승으로 인해 엄청난 불로소득을 챙기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총리실 고위공직자 몇 명이 대상이었고 얼마나 오른 겁니까? <br /> <br />[김성달] <br />총리실 소속으로 2020년 3월 이후 공개한 공직자 대상입니다. 총 35명인데요. 이 중에 현직 22명, 전직 13명 해서 35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분들이 보유하고 있는 재산을 저희들이 조사했는데 이 중에 시세 파악이 가능한 아파트를 비교해본 결과 아파트값 1채당 문재인 정부 취임 초 8억에서 지금은 13억 원으로 약 5억 원, 한 채당 평균 상승률이 65%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때 이 주택 가격은 기준이 뭐였나요? <br /> <br />[김성달] <br />원래 공직자윤리법에 따라서 신고할 때 재산 공개 가격 기준은 공시가격 또는 실거래가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저희들이 조사해본 결과 상당수는 실거래가가 아닌 공시가격을 신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건 본인들이 실거래가는 주변에 거래되고 있는 시세 개념을 적용하면 실거래가 파악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대다수가 본인이 취득한 기준의 실거래가로 유권해석을 하다 보니까 상당수가 재산을 공식가로 신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어쨌든 조사 결과 평균 5억 원 정도가 올랐다 이렇게 밝히셨는데요.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사람은 누구고, 또 어느 정도 올랐는지 설명을 해 주시죠. <br /> <br />[김성달] <br />상승폭이 가장 많이 오른 사람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입니다. 또 최창원 국무1차장이신데요. <br /> <br />이 두 분 모두 동일하게 개포동 내 재건축 아파트를 보유하고 계십니다. 그런데 이 아파트값이 정부 초기에 15억 원 정도였는데 최근 시세는 31억 원으로 한 채당 16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02916353210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